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3년 7월 15일~ 베트남 통관 FTA 원산지증명서 원본 제출 면제! 전자교환시스템 EODES?

수출 관련 정책/FTA

by 수출메이커 2023. 6. 27. 22:59

본문

반응형

이제까지 베트남과의 무역거래에서 FTA 원산지증명서를 발급하고 있는 한국 수출기업에게 좋은 소식입니다. 

 

우리나라와 베트남의 관세당국은 ‘원산지증명서 전자교환 시스템(EODES)’  개통식을 개최하고, 오는 7월 15일부터 정식 운영한다고 합니다. 

 

EODES는 이미 다른 국가와의 FTA 활용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스템입니다. 기존에는 FTA 원산지증명서를 종이로 직접 제출해야 했지만, EODES를 통해 원산지정보를 전자적으로 실시간으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이로써 한국 수출기업은 베트남에서 한-베트남 FTA나 한-아세안 FTA의 특혜관세를 받기 위해 '종이' 원산지증명서를 베트남에 제출하지 않아도 됩니다. 

 

 

EODES란 ?

EODES Electronic Origin Data Exchange System의 약자로, 국가간에 FTA 원산지증명서를 전자적으로 교환하는 시스템입니다.

 

종이 원산지증명서 대신에 전자적인 방식으로 FTA 원산지증명서를 교환하고 진위성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EODES의 장점 ?

EODES를 통해 온라인으로 FTA 원산지증명서 발급의 진위성을 확인할 수 있어  절차가 간소화되고 위험과 비용이 크게 감소합니다.

 

종이 원산지증명서는 이동 중에 배송지연이나 분실 등 여러 위험요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원본서류가 도착하지 않으면 수입국에서 통관이 지연되고, 창고 비용 등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EODES를 사용하면 이러한 절차가 간소화되고 위험과 비용은 대폭 감소하게 됩니다. 

 

 

EODES는 어떤 구조인가요? 

EODES는 관세당국간 개통하는 시스템으로, FTA 원산지증명서 기관발급을 채택하고 있는 협정에서 유용하게 활용되는 시스템입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원산지증명서를 발급하면, 상대국에서 원산지증명서상 고유번호를 조회하여 온라인으로 발급 사실과 세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입 통관 과정에서 온라인으로 즉시 원산지 정보를 조회함으로써 원본 확인 없이도 FTA 특혜를 적용받을 수 있게됩니다. 

 

 

FTA 원산지증명서 발급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EODES 사이트는?  

FTA 포털에는 우리나라에서 발급된 FTA 원산지증명서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발급된 FTA 원산지증명서의 발급 정보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FTA 포털

FTA 포털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www.customs.go.kr

 

사이트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메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먼저, [CO-PASS 진행정보] 에서는 협정을 막론하고 우리나라에서 발급된 원산지증명서의 진행정보 및 상세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하단의 [국가별 C/O 발급정보]를 통해서는 해외에서 발급된 원산지증명서에 대한 발급정보를 국가별 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외에서 발급된 원산지증명서는 아래 국가에 한정하여 조회가능합니다. (2023년 6월 기준) 

국가별 원산지증명서 발급현황

 

 

베트남과의 EODES

베트남은 한국과의 활발한 무역이 이루어지는 국가로서, 많은 기업들이 한-베트남 FTA나 한-아세안 FTA를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수출기업은 FTA특혜를 적용받기 위해, 원산지증명서 발급 후 DHL 등의 특송을 통해 서류를 베트남으로 발송하고 있습니다. 

 

이제 EODES를 통해 이러한 불편함이 사라진다는 소식은 수출기업에게 큰 기쁨이 될 것입니다. 다만, 현지 세관원들이 EODES 시스템을 얼마나 잘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는 있습니다. 특히 통관이 쉽지 않은 베트남과 같은 국가에서 이 새로운 시스템이 얼마나 신속하게 현장에서 적용될지가 궁금하네요.

 

만일 2023 7 15일 이후 베트남으로 수출 계획이 있다면, 현지 통관사와 함께 협력하여 현지 통관 상황을 파악한 후에 후속 업무를 진행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